728x90 반응형 부모교육12 아이의 영양 상태가 중요한 이유 - 정서발달 이런 경우는 정서 발달에 문제가 있어요! 하루에 세 번 이상 떼를 쓰거나, 한 번 떼를 쓰면 15분 이상 계속 됩니다. 소중한 물건을 부수거나 다른 사람을 공격합니다. 자신의 몸에 상처를 내는 등 자해 행동을 합니다. 밤에 잠을 잘 이루지 못합니다. 잠시도 엄마와 떨어져 있는 걸 참지 못하고 몸을 떨 정도로 불안해합니다. 표정이 별로 없고 말을 잘 하지 않습니다. 툭하면 울음을 터뜨리고 악몽을 자주 꿉니다. 체크한 문항이 4개 이상이면 전문가와의 상담을 추천합니다. 미국 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에서 발간하는 학회지에 따르면 만 2세의 아이들은 때로는 공격적인 행동도 서슴지 않는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동생으로부터 장난감을 빼앗은 뒤 동생이 울면 자신이 장난감을 가졌다는 사실에 성취감을 맛봅니다. 잘못된 행동.. 2023. 3. 16. 아이는 부모의 '거울' 요즘 유난히 독불장군형 아이들이 많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자기 뜻대로 되지 않으면 조금도 참지 못하고 떼를 쓰거나 울음보를 터트립니다. 그때마다 엄마가 달래주고 기분을 맞춰주니 아이는 더더욱 기고만장해집니다. 맞벌이 부부는 오랜 시간 같이 있어주지 못하는 미안함에 선물 공세를 펼치기도 합니다. 이런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는 나중에 자기밖에 모르는 이기주의자가 되기 쉽습니다. 어릴 때 부모의 양육 태도는 아이 성격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무조건적인 사랑도 때로는 해로울 때가 있습니다. 공공장소에서 남에게 피해를 주거나 떼를 쓸 때는 따끔하게 혼을 내야합니다. 어릴 때부터 아이에게 옳고 그른 것을 명확하게 가르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집에서 잘 교육 받은 아이는 어느 곳에서나 환영 받는 사람이 됩니다. .. 2023. 3. 16. 책임감이란 무엇인가? - 적극적인 부모역할 아동들이 현대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데 기본이 되는 점에 대해 다뤄보고자 합니다. 그 첫 번째는 바로 책임감의 문제입니다. 1. 책임감의 정의 -자신의 의무를 받아들이는 것 -상황이 요구하는 대로 올바른 행동을 하는 것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이는 것 2. 자신의 의무를 받아들이는 것 우리는 살아가면서 어떤 것을 해야 한다고 의무적으로 느끼기는 하지만, 마음이 내키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때때로 이러한 '의무감'은 특히 두 사람 사이에서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자녀에게 수업이 끝날 시간에 학교로 데리러 가겠다고 말했다면, 자녀를 학교에서 집으로 데리고 와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기타 여러 가지 의무들이 우리에거 주어진 역할을 통해서 은연중에 부과됩니다.. 2023. 3. 9. 상호존경 - 적극적인 부모역할 우리 자녀들은 무례한 행동에 대하여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회에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타인을 무례하게 대하는 행동은 곧잘 개인적인 모독으로 간주되며, 심한 경우는 폭력을 불러일으킵니다. 그런 의미에서 개인의 장점, 약점, 가문, 문화, 출신에 상관하지 않고 존경하는 것을 배우는 일은 자기존중감과 성공을 위한 기반이 됩니다. 자녀에게 화를 내거나 훈육을 제공할 때도 자녀를 존경해 주게 되면, 자녀가 자기 자신을 존경하면서 동시에 다른 사람에게도 존경심을 가지고 대하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자녀를 존중해 주는 것은 자녀가 우리를 존경하도록 가르치는 좋은 방법입니다. 작가인 버나드 말라무드는 이렇게 강조합니다. "존경받고 싶으면 존경으로 대해야 한다." 달리 말하자면, 만약에 우리가 자녀나 어떤 사람.. 2023. 2. 21.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