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어린이집에서 교사 대 영유아 비율은 아이 한 명 한 명에게 얼마나 세심한 돌봄과 교육이 가능한지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예요. 2025년부터 시행되는 유보통합 및 보육환경 개선의 일환으로 이 비율이 개선될 예정인데요, 아래에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 1. 2025년 개선 예정인 교사 대 영유아 비율
연령대 현행 비율2025년 개선 비율
0세반 | 1명당 3명 | 1명당 2명 |
1세반 | 1명당 5명 | (논의 중, 1:4 가능성) |
2세반 | 1명당 7명 | (논의 중, 1:5 가능성) |
3~5세반 | 1명당 15명(만3세) / 20명(만4세 이상) | 1명당 8명 (통합안 적용 시) |
※ 유보통합 모델 안에서는 연령 구분 없이 3~5세 통합보육으로 운영할 수 있고, 이 경우 1:8 비율이 적용될 수 있음.
✅ 2. 비율 개선의 기대 효과
- 보육의 질 향상
- 교사가 더 적은 수의 아이를 담당하게 되면, 개별 아이의 발달 상황이나 정서 상태를 더 세심하게 살필 수 있어요.
- 놀이, 대화, 문제 해결 등 아이와 상호작용하는 시간이 많아져 정서적 안정에 크게 도움돼요.
- 안전 강화
- 안전사고는 대부분 교사의 시야 밖에서 발생하는데, 담당 인원이 줄어들면 아이들의 움직임을 더 쉽게 관찰할 수 있어요.
- 교사 소진 방지
- 보육교사의 업무 과중이 줄어들고, 교사 번아웃(burn-out)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 이직률 감소 → 안정적인 보육 인력 유지
- 보육환경의 유연성 확보
- 다양한 활동을 소그룹으로 운영할 수 있어 창의성과 자율성이 높아져요.
🧩 3. 정책 시행에 따른 과제
- 보육 인력 확충 필요
→ 더 많은 교사 확보가 필수이며, 인건비 증가와 채용 시스템 개선이 따라야 해요. - 예산 문제
→ 지자체 및 정부의 예산 배정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현실적인 시행이 어려워질 수 있어요. - 시설 공간 부족 문제
→ 정원 조정이 필요한데, 기존 어린이집 공간이 협소한 경우 어려움이 따를 수 있어요.
📌 참고: 관련 정책의 흐름
이 비율 개선은 유보통합(유치원+어린이집 제도 통합) 정책의 일환이에요. 보육 중심 어린이집이든, 교육 중심 유치원이든 아이 중심의 질 높은 돌봄과 교육을 제공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것이죠.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