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M-CHAT은 영유아기 자폐 스크리닝 도구로, 부모가 체크리스트 형식으로 작성하는 아주 간단하고 실용적인 검사예요.
🧩 M-CHAT (Modified Checklist for Autism in Toddlers) 검사란?
- 만 16~30개월 사이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자폐 스펙트럼 조기 선별 도구예요.
- 총 2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모가 아이의 행동을 바탕으로 ‘예 / 아니오’로 응답해요.
- 자폐 진단을 위한 검사는 아니고, 자폐 가능성을 조기에 걸러내기 위한 도구예요.
📌 정식 진단은 아니지만, 이상이 의심되면 전문적인 평가로 연결하는 중간 단계로 매우 유용해요.
📝 M-CHAT 주요 문항 예시 (일부 발췌 및 설명)
1 | 아이가 재미있는 것을 보면 그것을 당신에게 보여주려고 하나요? (예: 장난감을 들고 와서 보여주기) | 예 | 공동 주의 능력 평가. 사회적 공유 욕구가 있는지 확인 |
2 | 아이가 눈을 잘 마주치나요? | 예 | 눈맞춤은 기본적인 사회적 소통 능력의 핵심 |
3 | 아이가 자신의 이름을 부르면 반응하나요? | 예 | 언어 이해와 사회적 반응성 확인 |
4 | 아이가 손가락으로 무언가를 가리키나요 (관심을 끌거나 원하는 것 표현할 때)? | 예 | 의사소통과 관심 공유 행동 |
5 | 아이가 무언가를 가져가서 당신에게 보여주며 반응을 기대하나요? | 예 | 사회적 교류 의지, ‘함께 나누는 경험’ 여부 확인 |
6 | 아이가 흔들기, 손가락 튕기기, 뺑뺑 돌기 같은 반복 행동을 하나요? | 아니오 | 반복 행동은 자폐 스펙트럼에서 자주 나타남 |
7 | 아이가 또래 아이들과 어울려 놀려고 하나요? | 예 | 사회적 상호작용 관심 여부 평가 |
8 | 아이가 물건을 나열하거나, 반복적으로 배치하는 행동을 자주 하나요? | 아니오 | 제한적·반복적인 행동 여부 확인 |
9 | 아이가 말로 표현하기 전 손짓(끄덕이기, 손가락 가리키기 등)을 사용하나요? | 예 | 의사 표현의 비언어적 능력 여부 |
10 | 아이가 모방 놀이(전화하는 척, 인형 밥 먹이는 놀이 등)를 하나요? | 예 | 상징적 놀이 여부 → 인지 발달과 사회성 연결 |
📊 결과 해석 (간략 버전)
- 총 23문항 중 3개 이상 ‘주의 필요’ 항목에 해당되면
추가 평가(M-CHAT Follow-Up)나 전문가 상담이 권장돼요. - 특히 **핵심 문항(critical items)**에서 2개 이상 문제 보이면
자폐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 → 전문가의 정밀 진단이 필요해요.
📌 부모가 오해하기 쉬운 포인트
“말은 아직 못하지만 다른 건 괜찮아요” | 자폐는 단순 언어 지연과는 달라요. 말 외의 사회적 반응도 중요해요. |
“혼자 노는 걸 좋아해요. 내성적인 거겠죠?” | 가능성은 있지만, 또래와 관계 맺기를 회피하는 경우는 확인 필요 |
“장난감 가지고 잘 놀아요!” | 장난감 놀이의 질이 중요해요. 의미 있는 상호작용이나 모방 놀이가 이루어지는지가 핵심이에요. |
✅ 참고: M-CHAT이 유용한 이유
- 짧고 쉽고 간편하게 부모가 할 수 있어요.
- 조기 발견과 조기 개입의 기회를 열어줘요.
- 국내 보건소, 발달센터, 소아정신과에서도 널리 활용돼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