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번엔 병원에서 3세 이후 아이들에게 사용하는 시력 검사 도구와,
어린이에게 흔히 나타나는 시력 질환인 ‘약시’, ‘사시’, ‘난시’의 의미와 차이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① 어린이 시력 검사 도구: 그림 시력표와 방법
🎯 3세 이상 시력 검사 – "그림 시력표"
어린 아이들은 숫자나 글자를 모르기 때문에,
병원에서는 **그림 시력표(피디아트릭 차트)**를 사용해요.
✅ 그림 시력표란?
- 나비, 자동차, 물고기, 집, 손, 별 등 아이에게 익숙한 사물 그림이 그려져 있음
- 아이가 눈으로 본 그림이 어떤 것인지 이름을 말하거나 손가락으로 가리킴
🧑⚕️ 검사 방법
- 한쪽 눈을 가리고(가림판 사용)
- 일정 거리에서 그림을 보여주며 그림의 인식 여부 확인
- 눈을 바꿔 가면서 두 눈의 시력을 각각 측정
📌 아이가 말이 서툴면 그림이 그려진 카드를 주고 똑같은 그림을 찾게 해요.
✅ 참고: 알파벳 ‘E’ 시력표 (스넬렌 차트의 변형)
- 손가락을 ‘E’ 방향처럼 만들어 보여주는 검사도 있어요.
- 예: E의 방향이 위/아래/왼쪽/오른쪽 중 어디냐고 물으면, 아이가 같은 방향으로 손가락을 움직여 답해요.
🧠 ② 어린이에게 흔한 시력 이상: 약시, 사시, 난시 쉽게 이해하기
🔸 1. 약시 (amblyopia)
🧩 무엇인가요?
- 눈 자체는 건강해도, 뇌가 시각 정보를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상태
- 시력을 제대로 자극하지 못하면 뇌에서 ‘그 눈’을 무시하게 되어 시력이 낮아짐
⚠️ 원인
- 사시, 심한 굴절 이상(근시·원시·난시), 한쪽 눈만 시력이 나쁠 때
- 선천성 백내장 등으로 눈이 자극을 못 받은 경우
🧒 특징
- 아이는 정상처럼 보이지만, 한쪽 눈만 유독 시력이 낮음
- 입체감, 거리감 부족으로 물건을 놓칠 수 있음
🎯 치료
- **좋은 눈을 가리는 ‘가림 치료’**로 나쁜 눈을 사용하게 유도
- 안경 또는 시력 자극 훈련 병행
(3~7세 치료 효과 높음! 빠를수록 좋아요)
🔸 2. 사시 (strabismus)
🧩 무엇인가요?
- 양쪽 눈이 같은 곳을 보지 못하고 서로 다른 방향을 보는 상태
- 안구 근육 불균형으로 발생
🧒 종류
유형설명
내사시 | 눈이 코 쪽으로 몰려 있음 |
외사시 | 눈이 바깥쪽을 향함 |
상사시/하사시 | 한쪽 눈이 위나 아래로 치우침 |
⚠️ 문제점
- 사물이 겹쳐 보이거나 (복시) 시력이 낮은 눈이 약시로 진행될 수 있음
- 입체감이나 거리감이 부족해짐
🎯 치료
- 약시 동반 시 가림 치료, 시력 교정
- 필요하면 수술로 안구 정렬 조절
🔸 3. 난시 (astigmatism)
🧩 무엇인가요?
- 눈의 각막(또는 수정체)의 굴곡이 고르지 않아 초점이 한 점에 맺히지 않음
- 쉽게 말해, 사물이 번져 보이거나 흐릿하게 보임
⚠️ 특징
- 모든 거리에서 선명하지 않고 삐뚤빼뚤하게 보임
- 눈을 자주 비비거나, 찡그리며 초점 맞추려는 행동이 많음
🎯 치료
- 굴절 이상용 안경 착용으로 교정
- 고도 난시인 경우 시력 발달에 방해되므로 약시로 이어지지 않게 조기 치료 필요
🔍 요약 정리
약시 | 시각 자극 부족 | 한쪽 눈 시력 저하, 입체감 부족 | 가림 치료, 안경, 훈련 |
사시 | 안구 근육 불균형 | 양쪽 눈 방향 다름, 복시 | 가림치료, 수술 |
난시 | 각막 굴곡 이상 | 흐림/번짐, 눈 피로 | 안경 교정 |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