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영아기는 출생부터 만 2세까지의 시기를 말하며, 인간 발달의 가장 기초를 이루는 시기예요.
이 시기의 발달은 이후 전 생애에 걸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아주 중요합니다.
아래에 영아기의 주요 발달 과제를 정리해 드릴게요.
🌱 1. 신체 및 운동 발달 과제
✅ 대근육 발달 (Gross motor skills)
- 머리 가누기 → 뒤집기 → 앉기 → 기기 → 서기 → 걷기 등의 순서로 진행됨.
- 만 1세 전후에는 혼자 걷기 시작.
- 활동 반경이 넓어지며 세상을 탐색하는 능력이 커짐.
✅ 소근육 발달 (Fine motor skills)
- 물건을 쥐고 흔들기 → 두 손으로 옮기기 → 집게손가락과 엄지로 잡기.
- 만 2세쯤 되면 스푼 사용, 간단한 블록 쌓기 등이 가능.
🧠 2. 인지 발달 과제
✅ 감각운동기 (피아제 이론 기준)
- 출생~2세는 **감각운동기(Sensorimotor Stage)**로 분류.
- 감각과 운동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탐색함.
- 대상영속성(Object Permanence)을 획득함: 보이지 않아도 존재한다는 개념을 이해함.
✅ 모방과 실험
- 보고 듣고 따라 하는 "모방"이 활발히 일어남.
- 손으로 두드리기, 흔들기 등 실험적 행동을 통해 인과관계 학습.
💬 3. 언어 발달 과제
- 옹알이 → 단어 말하기 → 두 단어 문장 → 간단한 문장으로 점차 발전.
- 만 1세 무렵 첫 단어를 말하며, 만 2세에는 50~200개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
- 언어는 정서적 소통 도구로도 매우 중요.
❤️ 4. 정서 및 사회성 발달 과제
✅ 애착 형성 (Erikson 이론 기준)
- 신뢰감 vs 불신감 (Trust vs. Mistrust)
이 시기의 핵심 과제는 **"기본적 신뢰감 형성"**이에요.- 부모(주 양육자)가 일관되게 따뜻하고 민감하게 반응할 경우 → 신뢰감 형성.
- 방임, 냉담한 양육 → 불신감과 세상에 대한 두려움 형성.
✅ 분리불안
- 8개월~18개월 사이 나타나며, 익숙한 사람과 떨어지는 것에 대해 불안해함.
- 건강한 애착 관계의 일부로 간주됨.
🧩 5. 자기 인식과 자율성 발달
- 생후 18개월~24개월 사이, 거울 속 자기 모습 인식(자기 인식 발달)
- Erikson 이론에서는 이 시기 후반에 **"자율성 vs 수치심"**이라는 과제가 등장
- 배변훈련, 스스로 먹기, 간단한 선택 등이 자율성 발달의 기회가 됨.
- 지나친 통제는 수치심, 의심 형성의 원인이 될 수 있음.
정리하면, 영아기의 발달 과제는 다음과 같아요:
영역주요 과제
신체·운동 | 대근육과 소근육 발달, 움직임을 통한 환경 탐색 |
인지 | 감각운동기, 대상영속성 이해, 실험과 모방 |
언어 | 단어 이해 및 표현 시작, 언어로 욕구 표현 시도 |
정서·사회성 | 애착 형성, 기본적 신뢰감, 분리불안 |
자율성 | 자율성 발달, 자기 인식, 간단한 독립적 행동 시도 |
728x90
반응형
댓글